아티클
아티클
당뇨병 예방이 왜 중요한지 먼저 살펴볼까요? 2024년 대한당뇨병학회 발표에 따르면, 30세 이상 성인 7명 중 1명(14.8%)이 당뇨병을 앓고 있어요. 더 충격적인 건 당뇨병 전단계에 해당하는 인구가 30세 이상의 경우 40%, 65세 이상은 50%나 된다는 점이에요!
당뇨병은 단순히 혈당만 올리는 게 아니라 망막병증, 신경병증, 신장병증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요. 특히 국내에서 6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기 때문에 예방이 정말 중요해요. 2050년까지 당뇨병 환자가 약 600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금부터라도 예방에 신경써야 해요.
출처: 대한당뇨병학회질병관리청에서 제시한 당뇨병 예방관리 5대 수칙을 알아볼게요. 이 수칙들만 잘 지켜도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요!
수칙 | 내용 | 목표 |
---|---|---|
첫 번째 |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 유지 | 남성 90cm, 여성 85cm 이하 |
두 번째 | 규칙적인 운동 | 주 3회 이상, 하루 30분 이상 중강도 운동 |
세 번째 | 균형 잡힌 식단 | 기름진 음식 줄이고, 과일과 야채 충분 섭취 |
네 번째 | 좋은 생활습관 | 7~8시간 숙면, 스트레스 관리, 금연 |
다섯 번째 | 정기적인 검진 | 40세 이상·비만인 경우 1년 1회 이상 |
운동은 당뇨병 예방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해요. 특히 대근육 운동이 혈당 조절에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리 몸의 근육 70%가 하체에 있고, 하체 근육의 절반이 허벅지와 엉덩이 근육이에요. 근육량이 많을수록 포도당 소비량도 증가하고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돼요. 연구에 따르면 최소 6주간 근력 운동을 한 결과 공복 혈당이 5.4mg/dL 이상 감소하고, 당화혈색소는 0.5% 감소했다고 해요.
식후 30분에서 1시간 사이에 운동하면 혈당을 빠르게 낮출 수 있어요.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고, 대중교통을 탈 때 한두 정거장 미리 내려 걷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출처: 하이닥식단 관리는 당뇨병 예방의 핵심이에요. 혈당지수(GI)가 낮은 음식 위주로 드시는 게 좋아요!
음식 종류 | 추천 식품 | 효과 |
---|---|---|
잡곡·통곡류 | 현미, 보리 | 베타글루칸 성분이 포도당 흡수를 늦춤 |
채소류 | 양배추, 시금치, 당근, 브로콜리 | 식이섬유가 풍부해 혈당 조절에 도움 |
과일류 | 사과, 베리류 | 비타민과 섬유질 풍부 (과량 섭취 주의) |
버섯류 | 팽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 혈당 조절에 도움 |
당뇨병 예방과 혈당 조절에 특히 좋은 슈퍼푸드들을 소개해드릴게요!
슈퍼푸드 | 주요 성분 | 효과 |
---|---|---|
콩류 (검은콩) | 라이신, 플라보노이드, 리놀렌산 | 혈관 강화, 혈당 조절, 인슐린 구성에 중요 |
현미 | 식이섬유, 각종 영양성분 | 혈당을 완만하게 상승, 당뇨 발생 위험 16% 감소 |
시금치 | 비타민 A, B, C, D, 마그네슘 | 췌장의 인슐린 분비 조절 |
단호박 | 베타카로틴, 식이섬유 | 인슐린 분비 촉진,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
여주 | P-인슐린, 카란틴 | 혈당 수치 감소, 인슐린 분비 촉진 |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들로 혈당지수를 낮출 수 있어요!
음식 조리시간을 줄이고 식재료 크기를 가급적 크게 해서 조리하면 혈당지수를 낮출 수 있어요. 튀기기보다는 삶거나 굽는 조리법을 선택하세요.
피클이나 식초, 레몬주스 등 산이 포함된 식품의 혈당지수가 낮아요. 드레싱 재료로 활용하거나 채소, 생선 위에 직접 뿌려 드시면 백미의 혈당지수를 20~40% 감소시킬 수 있어요.
감기나 독감 같은 질병은 혈당 조절을 어렵게 만들어요.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인해 혈당 수치가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잘 지켜주세요.
스트레스는 혈당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예요.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아 실천하고, 7~8시간 충분한 수면을 취하세요.
당뇨병은 한 번 생기면 완치가 어려운 만성질환이지만, 예방은 충분히 가능해요! 오늘 소개한 방법들을 하나씩 실천해나가면서 건강한 생활습관을 만들어가세요. 작은 변화가 큰 건강을 만들어줄 거예요.
출처: 질병관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