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폭염대비 열사병 예방 3대 기본 수칙 가이드 2025

1 Min Read
 폭염주의보 vs 폭염경보 이미지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7월이 다가왔습니다. 최근 몇 년간 폭염이 점점 더 심해지면서 야외에서 일하시는 분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는데요.
특히 건설현장, 배송업, 농업 등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적절한 조치 없이 장시간 뜨거운 날씨에 노출되면 생명까지 위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점점 더 더워지는 상황에서 뜨거운 폭염 속에서 야외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질환과 3대 예방 수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폭염, 정확한 의미가 뭘까?

폭염은 여름철 불볕더위를 말하며 통상적으로 33℃ 이상의 고온을 뜻합니다. 기상청에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 폭염주의보는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경보는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한답니다.
폭염주의보: 33℃ 이상 2일 지속 | 폭염경보: 35℃ 이상 2일 지속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따르면 시원하고 깨끗한 물을 규칙적으로 마실 수 있도록 하고, 더위를 피할 수 있는 그늘에서 적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어요. 사업주는 이러한 관리책임을 져야 하며,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해야 할 의무가 있답니다.
추가로 습구흑구온도지수(WBGT)에 따른 고온 노출 기준이 있습니다. 경작업은 30℃, 중등작업은 27℃, 중작업은 25℃를 기준으로 하는데, 이는 기온, 습도, 복사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과학적인 기준이랍니다. 다만 특수한 온도계와 계산이 필요해 현장에서 적용하기엔 어려움이 있어요.
 폭염주의보 vs 폭염경보 이미지

온열질환의 2가지 종류, 일사병/열사병

온열질환은 크게 열탈진(일사병)열사병으로 나뉩니다.

2-1) 열탈진(일사병)

열탈진은 땀을 많이 흘려 전해질이 소진되어 발생하는데, 체온이 40℃를 넘지 않고 의식은 유지되지만 심한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피부가 축축하고 창백해 보이며 의식은 있지만 힘이 없는 상태예요. 시원한 곳에서 휴식을 취하고 수분을 보충하면 회복이 가능합니다.

2-2) 열사병

반면 열사병은 중추신경 기능장애로 체온조절이 안 되어 발생하는 중증 질환으로, 치료받지 않으면 대부분 사망에 이르는 위험한 상태랍니다. 땀이 나지 않아 피부가 건조하고 뜨거우며, 체온이 40℃ 이상 올라가고 의식 저하가 동반되는 응급상황입니다.

🚨 응급상황 판단 기준

구분이 어렵고 의식이 저하되어 있다면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답니다.

폭염 단계별 대응요령

고용노동부에서는 체감온도를 기준으로 한 열사병 예방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어요. 31℃ 이상에서는 관심 단계로 물과 그늘을 준비하고, 폭염주의보(33℃) 시에는 매시간 10분씩, 폭염경보(35℃) 시에는 15분씩 그늘에서 휴식해야 해요. 특히 무더위 시간대(14~17시)에는 옥외작업을 단축하거나 중지해야 한답니다.
온도 단계 대응요령
31℃ 이상 관심 물과 그늘 준비, 기본 예방 조치
33℃ 이상 폭염주의보 매시간 10분 휴식, 수분 섭취 강화
35℃ 이상 폭염경보 매시간 15분 휴식, 작업시간 조정
 폭염주의보 vs 폭염경보 이미지
출처: 질병관리청.PDF

열사병 3단계 예방수칙: 물·그늘·휴식

열사병 3단계 예방수칙은 물, 그늘, 휴식이에요. 이 간단한 수칙만 철저히 지켜도 대부분의 온열질환을 예방할 수 있답니다. 폭염 시에는 규칙적인 수분 섭취와 더위를 피할 수 있는 그늘에서의 휴식이 생명을 구하는 핵심이죠.

STEP 1: 물 (규칙적인 수분 섭취)

시원하고 깨끗한 물을 충분히 제공하고, 작업자들이 갈증을 느끼기 전에 미리 물을 마시도록 독려해야 해요. 특히 폭염 시에는 평소보다 더 자주, 더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해야 하거든요. 작업 시작 전과 휴식 시간마다 반드시 물을 마시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해요.

STEP 2: 그늘 (더위 피하기)

작업장 근처에 그늘진 장소를 마련하여 햇볕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해야 해요. 그늘막이나 차양막을 설치할 때는 햇볕을 차단하면서도 시원한 바람이 통하도록 하고, 의자나 돗자리, 음료수대 등 편의 시설을 갖춰 휴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답니다. 소음이나 낙하물, 차량통행 등 위험이 없는 안전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STEP 3: 휴식 (충분한 휴식)

폭염특보 발령 시에는 1시간 주기로 10~15분 이상 규칙적으로 휴식을 취해야 해요. 구체적으로는 폭염주의보 발령 시 매 시간당 10분씩, 폭염경보 발령 시 매 시간 15분씩 휴식하는 것을 권장해요. 근로자가 건강상의 이유로 작업 중지를 요청할 경우에는 즉시 조치해야 한답니다.

폭염특보 시 휴식/작업시간 조정

무더운 시간대(오후 2시~5시)에는 옥외 작업을 피하고, 불가피한 경우 작업 시간을 오전 일찍이나 오후 늦게 조정해야 해요. 같은 온도라도 습도가 높으면 휴식시간을 더 늘려야 하는데, 기상청의 더위체감지수를 활용하면 도움이 된답니다. 가장 무더운 시간대에는 실내에서 안전보건교육을 하거나 경미한 작업을 함으로써 충분히 생산적인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

아이스 조끼·보냉장구 활용

옥외작업을 할 때는 아이스 조끼, 아이스팩 등 보냉장구를 착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에요. 특히 목이나 겨드랑이, 서혜부 같은 부위에 얼음주머니를 대주면 체온을 빠르게 낮출 수 있어요. 최근에는 다양한 쿨링 제품들이 나와 있으니 현장 상황에 맞게 활용해보시길 추천해요.

마스크 착용 시 주의사항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마스크 착용은 중요하지만, 폭염기에는 심박수와 호흡수, 체감온도를 상승시켜 신체 부담을 높일 수 있어요. 실외 작업 시 2m 이상 거리두기가 가능하다면 마스크를 벗고 일하는 것이 좋고, 어려운 경우에는 휴식 간격과 시간을 늘려 충분한 거리두기를 할 수 있도록 그늘막을 넓게 설치해야 한답니다.

응급처치 안내

열사병·열탈진 구분법

열탈진은 땀이 많이 나서 피부가 축축하고 창백하며 의식은 있지만 심한 피로감을 호소해요. 반면 열사병은 땀이 나지 않아 피부가 건조하고 뜨거우며, 체온이 40℃ 이상 올라가고 의식 저하가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에요. 열사병은 치료받지 않으면 사망할 수 있는 응급상황이므로 신속한 판단이 중요해요.

응급상황 대응 단계

STEP 1: 즉시 119 신고 및 안전한 장소 이동

응급상황 발생 시에는 먼저 의식 상태를 확인하고 즉시 119에 신고해주세요.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신속히 옮기는 것이 최우선이에요.

STEP 2: 체온 낮추기

옷을 느슨하게 하고 물을 뿌려 선풍기로 증발시키거나 겨드랑이, 서혜부에 얼음주머니를 대어 체온을 빠르게 낮춰야 해요.

STEP 3: 수분 공급 (의식 있는 경우만)

의식이 있다면 찬물이나 스포츠음료를 마시게 하되,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는 질식 위험이 있으니 억지로 먹이면 안 돼요.

추가 관리 강조

2인1조 작업 권고

폭염기에는 반드시 2인1조 작업을 원칙으로 해야 해요. 혼자 작업하다가 온열질환이 발생하면 신속한 도움을 받기 어렵거든요. 특히 고령 근로자나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은 더욱 주의가 필요하며, 동료와 함께 서로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동료의 건강 모니터링

온열질환 초기증상으로는 피로감, 힘없음, 어지럼증, 두통, 빠른 심장박동,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 동료가 이런 증상을 보이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에서 휴식을 취하도록 해주세요. 몸을 전혀 가누지 못하거나 의식이 없을 경우에는 망설이지 말고 119에 신고해야 한답니다.

⚠️ 온열질환 초기 증상

피로감, 힘없음, 어지럼증, 두통, 빠른 심장박동, 구토, 메스꺼움 등이 나타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하세요.
 폭염주의보 vs 폭염경보 이미지
출처: 질병관리청.PDF

교육 및 실제 실행 중요성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갈증이 나거나 땀을 많이 흘려 피로감 등의 자각증상이 있을 때 당장 작업을 멈추고 수분 섭취와 휴식을 취해야 한다는 점이에요. 아무리 좋은 매뉴얼이 있어도 실제로 지키지 않으면 소용이 없거든요. 정기적인 안전교육을 통해 온열질환 예방법을 숙지하고, "괜찮겠지"라는 생각보다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마음가짐이 생명을 구할 수 있답니다.

본 컨텐츠는 생성형 AI로 제작된 컨텐츠와 이미지를 일부 포함하고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신가요?

무료상담 신청

건강보험

오늘부터, 건강하게

나와 가족의 건강을 위한 보장을 준비하세요